| 스마트 GMO 리포트 |

어려운 GMO, 재미있고 알기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스마트 GMO 리포트




스마트 GMO 리포트는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의 블로그 <ALL about GMO>(blog.naver.com/lmoman)와 유튜브 채널 <GMO TV>(www.youtube.com/@gmotv)의 흥미로운 콘텐츠들을 모아놓은 코너입니다. 다양하고 재미있는 콘텐츠들을 확인하고 유익한 정보도 얻어 가세요. 

대물림되는 끝없는 저주, 공포영화 <유전>

<유전>은 악령과 악마로 지칭되는 초자연적 사건과 비과학적 소재를 다루는 오컬트 장르의 영화이다. 유전(Hereditary)이라는 제목 그대로, 부모가 갖는 특성이 자식에게 전해지는 현상인 유전을 소재로 하며 영화는 악마를 숭배하는 유전자가 자식에게 전해지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영화 속 주인공처럼 '저주 유전자'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지만, 유전자가위 기술을 통해 특정 유전자를 제거하는 일은 가능하다. 2024년 7월 11일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상염색체 우성 난청을 지닌 실험용 쥐의 청각 세포에서 유전자가위를 통해 돌연변이 유전자를 잘라내는 실험에 성공하며 실험용 쥐의 청각을 개선했다. 생명공학 기술의 발전이 유전에 대한 인식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지 기대된다.


* 상세한 이미지와 자세한 정보는 이곳에서 확인하세요.
 (
https://blog.naver.com/lmoman/223538414792)

해충저항성 GMO: Bt 독소를 중심으로

11기 스마트 LMO 기자단의 장주희 기자가 작성한 카드뉴스형 콘텐츠로, GMO의 여러 개발 분야 중 해충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 해충저항성 GMO에 대해 설명했다. 토양 박테리아(Bacillus thuringiensis)가 생성하는 Bt 독소(Toxin)는 특정 해충의 소화 시스템에 영향을 미쳐 유전자변형기술을 활용해 이 유전자를 식물에 삽입 또는 수정할 경우 이 Bt 독소를 생성하는 식물은 해충 저항성을 갖게 된다. Bt 독소는 해충의 알칼리성 소화 시스템(pH 9-10)에서 활성화되지만, 인간의 강산성 소화 시스템(pH 2-3)에서는 활성화되지 않아 사람에게는 무해하다. 이외에도 해충저항성 GM작물 소개와 경제적 가치, 문제점 등을 알기 쉽게 풀이해 GMO가 가져온 다양한 변화를 확인해 볼 수 있다.  


* 상세한 이미지와 자세한 정보는 이곳에서 확인하세요.

(https://blog.naver.com/lmoman/223554459319)

GM 식품 편 | 첫번째 키워드 “유전자변형식품(작물)”

생명공학 분야에서 오랜 시간 논쟁의 소재로 자리매김한 GM 식품의 안전성을 주제로 한 유튜브 콘텐츠이다. 미래식량자원포럼의 김동헌 부회장이 출연해 식량 안보와 GMO 기술, GM 작물의 관계를 소개했다. 특히 GMO를 설명하며 장점과 단점을 간결하지만 분명하게 알려준다. GM 작물의 최대 장점인 생산성 확보와 생산량 감소 방지, 단점인 예상할 수 없는 결과 등을 소개하며 GMO의 원리와 특성을 자연스럽게 소개했으며 위해성에 대한 국민의 궁금증을 시원하게 답해준다. GMO는 생물 변이체의 연장선이며, 무엇보다 하나의 기술이 활용에 따라 장점이 될 수도, 단점이 될 수도 있다는 메시지는 GMO에 대한 생각의 여지를 남긴다.  


* 상세한 이미지와 자세한 정보는 이곳에서 확인하세요.
(
https://youtu.be/dWx7yzdPBw4?si=YDeiBqW1GGP_b3EL)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TEL 042-879-8318   |   FAX 042-879-8309

COPYRIGHT(C) 2022 BY KBCH. ALL RIGHTS RESERVED